서울시 청년안심주택 2024년

2024. 1. 18. 13:16정부지원,혜택,대출/공공임대,국민임대,아파트

728x90
반응형

 

 

https://soco.seoul.go.kr/youth/main/main.do

공공임대와 민간임대 아파트

임대주택을 공급하는 서울시 청년안심주택 사업의 2024년 공공임대와 민간임대
공공임대주택은 공공이 보유하는 주택이므로, 공공임대주택이 많아질수록 정부가 주택시장 안정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정책 수단이 늘어난다. 수요자 입장에서는 공공임대주택에 살면 주거비가 절감된다. 최근 국토연구원에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공공임대주택 거주 세대는 민간임대주택 거주 세대에 비해 주거비를 평균 15.3만 원 적게 지출한다. 청년, 신혼부부, 무주택 세대가 공공임대주택에서 10년 이상 안정적으로 거주하면서 주거비를 아낀다면 향후 내 집 마련에 도움이 된다. 

청년임대공급계획

공공임대주택은 깡통전세나 보증금 사기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고, 자주 이사를 다니지 않아도 되고, 관리비도 합리적이다. 정부가 발표한 '2021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공공임대주택에 거주하고 있는 가구 중 95.2%가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만족의 이유는 1위가 "저렴한 임대료"(50.2%), 2위가 "잦은 이사 불필요"(39.3%)였다. 수혜자의 95%를 만족시킨 것만으로도 공공임대주택은 대단히 성공적인 정책이라고 말할 수 있다. 또 공공임대주택 재고가 늘어나면 사회안전망이 확충되며, 사회 양극화를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그래서 어떤 정부든 공공임대주택 정책을 함부로 후퇴시켜서는 안 된다.“저소득층부터 중산층까지, 소득 계층별 맞춤형 임대주택”택지개발을 통해 대단위로 새롭게 짓는 건설형 임대주택을 비롯하여 재개발 재건축 아파트나 기존 다가구 주택 등을 매입해 임대하는 매입형, 기존주택을 집주인으로부터 빌려 임대주택으로 활용합니다.

공공임대주택유형
가구당월평균소득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