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지원,혜택,대출(15)
-
소상공인 개인사업자 대출이자 환급 금액 및 신청
1.소상공인 개인사업자 대출이자 환급 금액 및 신청 방법>> *지원대상 차주>> ’23.12.31일 기준 중소금융권 대출을 보유한 개인사업자 또는 법인 소기업으로서, '5% 이상 7% 미만'의 금리를 적용받는자 *중소금융권 : 농협 · 새마을금고 · 신협 · 수협 · 산림조합 · 저축은행 · 카드사 · 캐피탈사 *지원대상 대출>>실제 대출실행일(약정일 기준이 아님)을 기준으로 ’23.12.31일(포함) 이전에 실행된 사업자대출 (개인대출은 제외) *******단, 아래에 해당되는 경우 지원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대출 종류)주식담보대출 *(사업자 업종)부동산 임대업(6811), 부동산 개발 및 공급업(6812), 금융업(64) (비영리 사업자)단, >>>*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따른 사회적기업, 협동조..
2024.04.05 -
2024년>신생아 특례 대출
1.2024년 신생아 특례 대출 정보 ***국토교통부>>https://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id=95089210 2024년부터 시작되는 신생아 특례 대출은 출산 가정의 주거 안정을 위해 마련된 정책입니다. 무주택 가구 중 2년 내 출산 가정을 대상으로, 구입자금과 전세자금 대출을 지원합니다. 이 대출의 특징은 매우 낮은 이자율로 대출을 받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2.***신생아 특례 구입자금 대출 1.연 이자율: 최저 연 1.6% 2.대출 한도: 최대 5억원 3.대상: 2년 내 출산한 무주택 가구 4.신생아 특례 전세자금 대출 연 이자율: 최저 연 1.6% 5.대출 한도: 최대 5억원 6.대상: 2년 내 출산한 무주택 가구 이러한 대출 지..
2024.03.14 -
신생아 특례 대출
신생아 특례 대출 2024년 5월부터는 신생아가 있는 가족에게 공공 분양 지원도 확대한다고 해요. '나눔형'의 경우 신생아 가구에게 35%를 배분, '선택형'의 경우 30%를 배분, '일반형'의 경우 20%의 비중으로 배분해요 📌 신생아 특례 대출 3줄 요약 1. 신생아 특례 대출은 전세자금과 구입자금으로 나뉘어요. 2. 전세자금대출은 금리가 연 1.1% ~ 연 3.0%, 구입자금대출은 금리가 연 1.6% ~ 연 3.3%예요. 3. 대출 이외에도 신생아 가구를 위한 특별 공급이 확대되었어요. 최근 저출생 현상이 심각해지며, 정부가 다자녀 및 신생아 가구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있어요. 그중 2024년 1월 29일부터 신생아 특례 대출 접수를 시작하고, 5월부터는 신생아 가구를 위한 특별 공급을 확대한다고..
2024.02.21 -
파산,회생
파산,회생을생각 하시는 분들께 만약 파산이나 회생을 생각 하시는 분들은 이글을 읽고 참고 하시고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엇으면 합니다,저역시 막다른골목에 서있고 벼랑끝에 서 있읍니다,변호사 사무실 선택 잘못해서 아직도 지금 다른법무사 선택해서 회생 진행하고 있씀,아직 인가전, 7년전 연체 경험 없던시절 연체 될까봐 두렵고 조마 조마 할때 변호사 사무실 선택 잘못 한게 잘못이라서 혹시 이글을 읽으시는 한분이라도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엇으면 합니다 변호사 사무실선택 나는여기서 잘못 햇다 막상 연체되니 단시간에 경매압류 이런거는 아니더라는거...5년후에 압류 경매 되긴 햇지만...그당시엔 막막하고 어찌 해야할지 돈은없고 죽을까 ~살까~망설이기도 ~~사는길택하고 변호사 사무실선택 나는여기서 잘못 햇다.발품을 팔아야 ..
2024.02.01 -
서울시 청년안심주택 2024년
https://soco.seoul.go.kr/youth/main/main.do 공공임대와 민간임대 아파트 임대주택을 공급하는 서울시 청년안심주택 사업의 2024년 공공임대와 민간임대 공공임대주택은 공공이 보유하는 주택이므로, 공공임대주택이 많아질수록 정부가 주택시장 안정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정책 수단이 늘어난다. 수요자 입장에서는 공공임대주택에 살면 주거비가 절감된다. 최근 국토연구원에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공공임대주택 거주 세대는 민간임대주택 거주 세대에 비해 주거비를 평균 15.3만 원 적게 지출한다. 청년, 신혼부부, 무주택 세대가 공공임대주택에서 10년 이상 안정적으로 거주하면서 주거비를 아낀다면 향후 내 집 마련에 도움이 된다. 공공임대주택은 깡통전세나 보증금 사기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
2024.01.18 -
청년정책2024년
청년정책2024년 ① 대중교통비 할인 K-Pass 서민·청년층의 교통비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새로 마련한 한국형 대중교통비 환급 사업.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정기적으로 이용하면 지출액의 일정 비율을 최대 60회까지 환급. 기존 알뜰교통카드와 달리, 앱으로 출·도착 기록을 하지 않아도 되고 적립률도 높아. 청년(만 19~34세)은 이용금액의 30%, 저소득층은 53%, 일반은 20%가 환급.대중교통비를 회당 1500원씩, 월 최대 지원 횟수인 60회까지 지출한다고 가정했을 때, 청년은 월 2만7000원을 환급. 저소득층에 해당한다면 4만7700원, 일반은 1만8000원이 지원. 연간 최대 지원액으로 환산시 청년 32만4000원, 저소득층 57만2400원, 일반 21만6000원. 올해 5월부터 시행될 ..
2024.01.13